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Military Sex Slave

진정성 회복의 단초 : 군 성 노예

Installation, film

김홍록

Hong-rok Kim

3st solo exhibition

2015. 7. 23 ~ 8.23

khalifa gallery

Artist Hong-rok Kim has been continuing his series of exhibition with a common theme of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In his first exhibition,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Bussot, Raul’, he portrayed his ideology by reenacting five urgent days in 25 Mar 1993 of Bussot and his family, leaving Cuba to Miami, United States looking for freedom. Under the almost exact setting that reflects their horrible situation and pressing moments shows in real time at the Khalifa gallery, Seoul, Korea in 25 Mar 2013. In his second exhibition,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McDonald’s’, he described capitalism in an unique way by putting scattered diamond dust on diverse hamburger wrapping papers, which may symbolize capitalism, collected from twenty different countries. He plans to delineate the meaning of imperialism through third and fourth series of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In the third exhibition,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Military Sex Slave’, he conveys the message on imperialism based on extant ex Japanese military sex slaves, who were harshly sacrificed throughout the history under Japanese colonization.

To artists, an art piece is a kind of clue combined with artistic methods used when conveying authenticity to audience. The word, ‘recovery’ shown in every title of Kim’s work implies undefined condition due to limitless changes, and procedures that require incessant effort to get close its nature. In the third exhibition, Kim uncovers the clue as known as ‘Japanese military sex slave’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Military Sex Slave’ is the projected art piece on the installation whose size is 3m*2m (width*height). It depicts Korean old women, who experienced excruciating pai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I as sex slaves. They comfortably sitting and looking at audience under the delicate environment as if they were in heaven, and contain no gesture, or any type of facial expression, or emotion. The artist objectively described the piece, intending to ‘record’ history through modern art, and the piece shows significance in ‘reflection of contemporary era and participation’ of modern art by allowing audience to level themselves to those old women.

The art piece allows us to recollect and contemplate on ourselves, who already forgot pain and agony of our ancestors had encountered throughout the history, and provides us an opportunity to evaluate imperialism through appearance of old women. It also may provide an opportunity that transcends space time to us and following generations, who can be with them until their last minute. Old women authentically show their effort to prevent repetition of horrible history as ‘military sex slave’ by participating in this work, thus recovering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is where this work may obtain authenticity and permanence.

가 김홍록은 ‘진정성 회복의 단초’ 라는 공통된 화두로 전시시리즈를 이어 나가고 있다. 첫 번째 전시 ‘진정성 회복의 단초 : 부쏘, 라울’ 에서 Bussot가족이 1993년 3월 25일 자유를 찾아 쿠바에서 뗏목을 타고 미국 마이애미로 건너간 경험을 칼리파 갤러리 전시장에 설치한 동일한 형태의 뗏목 위에서 김홍록은 Raul과 함께 당시 5일간의 체험의 재현을 통해 이데올로기를 이야기했다. 두 번째 전시인 ‘진정성 회복의 단초 : 맥도날드’ 에서는 전세계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자본주의 상징일 수 있는 20개 국가의 맥도날드 포장지를 수거하였고 포장지 위에 다이아몬드 더스트를 더한 작품을 선보임으로 작가만의 자본주의를 이야기했다. 세 번째 전시인 ‘진정성 회복의 단초 : 군 성 노예’ 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이며 현재까지 살아있는 과거 역사의 희생자인 ‘일본군 성노예’ 를 실마리로 제국주의에 대해 이야기 한다.

작가에게 작품은 ‘진정성’ 이라는 화두를 관객에게 전달할 때에 사용하는 ‘미술 표현방법을 지닌 하나의 실마리’ 이다. 모든 작품제목 속에 등장하는 ‘회복’ 이라는 단어는 끊임없이 가변 하여 정의할 수 없는 상태이고 본질에 완전히 다가갈 수는 없지만 본질에 가까워지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작가는 세 번째 전시의 작품을 통해 ‘일본군 성 노예’ 라는 실마리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진정성 회복의 단초 : 군 성 노예’ 는 높이 2m, 가로 3m의 설치물 위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성 노예로 고통을 겪었던 한국 할머니들의 모습을 영사한 작품이다. 할머니들은 마치 천국에 있는 것처럼 배경 없이 은은한 빛에 쌓여 관객을 편안히 응시하며 어떠한 말이나 표정 또는 특정한 감정 전달의 제스처가 없다. 이는 작가가 ‘역사를 현대미술을 통해 기록’ 한다는 취지에 맞는 객관적인 묘사라고 할 수 있으며 관객이 할머니들과 눈을 맞출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은 현대미술의 ‘시대반영과 참여’라는 역할을 보여준다.

작품은 ‘제국주의’의 피해자인 할머니들의 모습을 통해 제국주의에 대한 판단의 기회를 주며 과거 역사의 많은 고통과 아픔을 잊고 살아가는 우리 스스로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또한 할머니들의 마지막 생을 함께 하는 우리들 뿐만 아니라 미래의 세대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만남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로써 할머니들의 작품참여는 ‘군 성 노예’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세상을 회복하려는 진심 어린 노력과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부분에서 작품은 진정성을 얻고 영속성을 갖게 된다.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Ok-seon Park

Film, Projection on cotton / 00:00:44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Ok-seon Lee

Film, Projection on cotton / 00:02:19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Soon-ok Kim

Film, Projection on cotton / 00:02:14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Kun-ja Kim

Film, Projection on cotton / 00:04:21

A Clue to the Recovery of Authenticity : Il-chool Kang

Film, Projection on cotton / 00:03:45